로컬크리에이터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위닛

이시연(공연기획경영학과‧23)

브랜드및상품

위닛(weneet)은 뜨개질이라는 교차점을 통해 우리가 함께하고 만나게 된다는 의 미를 담아 ‘we knit’과 ‘we meet’을 합성한 이름입니다. 상품은 크게 완제품과 diy 키트로 나뉩니다. 완제품은 아이코드 뜨기를 이용해 제 작한 리본 키링(8색)과 하트 키링이며, diy 키트는 초심자도 어렵지 않게 제작할 수 있는 카드지갑과 같은 소제품입니다. 팝업 스토어에서만 만날 수 있는 위닛의 로고 라벨은 여러분의 뜨개 작품에 한 끗의 완성도를 더해줄 것입니다. 뜨개질로 만든 의류와 가방, 모자도 전시합니다.

참여 계기와 활동

호기심으로 시작한 일이었는데, 뜨개질이 오랜 취미였기에 로컬크리에이터로서 의 방향을 정하는 데 큰 어려움 없이 즐겁게 임할 수 있었습니다. 덕분인지 주제 및 기획 내용이 1학기 ‘파인 피치 콘테스트’ 최우수상으로 이어졌습니다.
2학기 ‘로컬브랜딩실습’ 수업의 브랜딩과 디자인 과정은 가장 어려웠던 만큼 배울 점이 많았습니다. 브랜딩을 제대로 배우고 체화하는 좋은 기회였고, 적극적으로 교수님께 피드백을 받으면서 실력을 다듬을 수 있었습니다. 1년 과정을 통해 만난 여러 홍성 로컬 브랜드 대표님의 강의와 조언, 피드백 등도 큰 도움이 됐습니다.

참여 소감

청운대학교가 아니었다면 이렇게 좋은 기회로, 알찬 수업을 들을 수 있었을까 싶 습니다. 홍성이라는 지역에 대해 더 깊이 보고 더 많이 알아가면서 이곳에서의 나 는 어떠해야 하는지 고민하고 공부하는 순간이었습니다. 도움과 조언, 지원을 아 끼지 않은 많은 분께 감사드립니다.

로컬크리에이터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물고기

(왼쪽부터)
박충희(뷰티산업학과‧22)
김정희(뷰티산업학과‧22)

브랜드및상품

성경 속에서 물고기는 구원과 부활을 상징하기도 합니다. 데님 원단을 주재료로 각종 가방, 애견 용품, 옷, 카드 지갑 등 업사이클링 제품을 만드는 만큼 ‘물고기’ 를 이름으로 설정했습니다.

참여 계기와 활동

업사이클링 제품에 대한 반응이 궁금했습니다. 새로운 작업과 창업에도 관심이 많았고요. 여름방학 중 홍성에서의 4박 5일 캠프가 큰 도움이 됐습니다. 지역의 업체를 탐방하고, 관련 분야의 강의도 들을 수 있었습니다.
이번에는 데님 종류로 한정했지만, 다른 재료로 확대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 었습니다. 버려지는 옷, 쓰레기를 재사용하여 환경에도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참여 소감

로컬 브랜드 방문 및 관련 강의 등이 적절하게 잘 이뤄진 활동이었습니다.비교 적 많은 나이에 학생들과 함께 하면서 아이디어도 얻고, 생각을 넓힐 수 있는 계 기였습니다. 창업을 위해 모였지만 각기 다른 생각을 갖고 있다는 점도 흥미로 웠습니다.

로컬크리에이터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삼공주스토리

윤진희(뷰티산업학과‧22)

브랜드및상품

아이들을키우다보면자주구입하게되고잘망가지기도하는것이헤어액세서 리와 키링입니다. 망가졌을 때 그냥 버리기보다는 자투리 천과 리본 등을 활용하 여 나만의 액세서리 만들기를 시도했습니다. 개인적으로 딸 셋과 함께 만들어 가 는 이야기라 ‘삼공주스토리’라고 명명했습니다.

참여 계기와 활동

혼자서는 하기 어려운 일들이 많았는데 교수님과 강사, 학우들과 의견을 나누면 서 발전시켜 갈 수 있었던 실습 수업이었습니다.

참여 소감

하나의 브랜드와 상품을 만들어가는 좋은 기회가 됐습니다. 지역 및 로컬콘텐츠 활성화를 위해 지역 주민들과도 소통을 하며 교류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로컬크리에이터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호도시아

김미자(창업경영학과‧24)

브랜드및상품

작은 ‘호’롱불로 ‘도시’를 ‘아’름답게 비춘다는 의미의 ‘호도시아’입니다. 골동품 이나 버려지는 제품을 활용한 천연이끼(스칸디아모스) 미니 정원을 제작했습니 다. 메인 작품은 골동품 돛단배를 이용한 천연이끼 정원인데, 청년들이 홍성이란 도시로 내려와서 터를 잡고 자신만의 항해를 해나간다는 의미를 담았습니다.

참여 계기와 활동

개인사업을 운영하고 있지만 이론적으로 사업을 배운 적은 없었습니다. 로컬창 업가 과정을 통해 사업계획서 작성부터 PPT 발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초청 강의와 멘토링, 홍성 지역과 연계한 4박 5일 캠프, 참여자 간 아이디어 공유 등 창업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참여 소감

이런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확대됐으면 좋겠습니다. 참여자 간 아이디어를 공유 하고 협력하는 시간도 소중했습니다. 지역 내 예술가를 위한 교류의 장으로 지 역 예술의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길 바랍니다.

로컬크리에이터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a piece of memory

최윤주(뷰티산업학과‧21)

브랜드및상품

미래의 재앙 속에서 살아가는 아이들의 기억을 불러낸 경고의 메시지를 캐릭터와 장소, 텍스트 프린 팅으로 전달하는 콘셉트의 의류 디자인 브랜드입니다. 지구의 환경과 미래를 담은 냉소적 메시지를 전하면서도 귀여운 캐릭터로 키치해 무겁지 않게 표현했습니다.

참여 계기와 활동

대중들의 니즈를 따라가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메시지와 가치를 먼저 창출하고 유행을 선도하는 실험을 로컬 크리에이터로서 실행해보고 싶었습니다. 대중 매체에 대한 상식과 흐름, 디자인 수업 등의 수업이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참여 소감

각각의 특별한 스토리가 한자리에 어우러지는 경험을 하게 되어 기대됩니다. 새로운 곳에서 새로운 사람들과새로운이야기를만들어가는이런기회가많아지고,실제홍보및판매로이어질수있는 통로가 됐으면 합니다.

추천 콘텐츠

  • 창업브랜드2024.11.04

    로컬크리에이터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청춘작당 (왼쪽부터) 최준영(공연기획경영학과‧20) 방유림(공연기획경영학과‧23) 신연교(공연기획경영학과‧21) 강다녕(공연기획경영학과‧22) 조환희(연극예술학과‧19) 브랜드및상품 지역소재대학에재학중인청춘이함께모여지역을위한이벤트,행사,공연 등을 기획‧운영하는 ‘청춘작당’입니다. 수도권 외 지역에선 행사나 공연을 기획,

    로컬크리에이터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청춘작당

  • 창업브랜드2024.11.04

    로컬크리에이터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Can’de (왼쪽부터) 전민주(호텔조리식당경영학과‧20) 박진영(호텔조리식당경영학과‧19) 이수지(호텔조리식당경영학과‧22) 임정훈(호텔조리식당경영학과‧20) 여진성(호텔조리식당경영학과‧19) 브랜드및상품 ‘캔에 담긴 디저트’라는 뜻에서 캔(Can)과 디저트(Dessert)를 합쳐 ‘Can’de’라

    로컬크리에이터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Can’de

  • 로컬브랜드2024.11.04

    로컬 스몰 브랜드는 기꺼이 예비 청년 창업가의 멘토가 되 어주었습니다. 또 전시, 상품 판매, 후원 등으로 ‘청운상회 2024 로컬팝업페스타’에 힘을 보탰습니다. 청운대학교 로

    로컬 스몰 브랜드는 기꺼이 예비